High Perform
스포츠 코칭 및 과학 뉴스레터
축구 비디오 분석의 객관성, 코치들은 같은 장면을 어떻게 다르게 보는가
0:00
-8:28

축구 비디오 분석의 객관성, 코치들은 같은 장면을 어떻게 다르게 보는가

"같은 경기 영상을 본 코치들이 비슷한 결론에 도달할까?"

위 질문에 대해 대부분의 축구 관계자들이 "당연히 그렇다"고 답할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 놀라운 발견이 있었습니다 - 같은 비디오 클립을 본 15명의 코치들이 전혀 다른 해석을 내렸다는 것입니다.

객관성의 신화: 15명의 코치, 15가지 다른 해석

Furley et al. (2024)의 연구는 UEFA B 라이선스 이상을 보유한 15명의 코치에게 독일 분데스리가 경기의 동일한 비디오 클립을 보여주고, 다섯 가지 전술적 질문에 답하게 했습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

전술 시스템 해석의 혼돈

한 장면을 두고 코치들의 포메이션 해석이 10가지 이상으로 분산됐습니다. 4-2-3-1, 3-4-3, 5-2-3, 4-3-3... 마치 각자가 다른 경기를 보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공간 점유와 전개 방식의 극단적 차이

같은 팀의 공간 활용에 대해 어떤 코치는 "훌륭한 위치 선정"이라고 평가했고, 다른 코치는 "공간 활용이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공격 전개 방식에 대해서도 "체계적이고 논리적"이라는 평가와 "무계획적이고 산만하다"는 평가가 공존했습니다.

주목할 선수의 다양성

연구진이 예상한 것과 달리, 단 한 명의 선수가 아니라 9명의 선수 이름이 거론됐습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같은 선수에 대해 "훌륭한 움직임과 판단력"과 "개선이 필요한 플레이"라는 상반된 평가가 나왔다는 점입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할까?

  1. 개인적 경험과 지도 철학의 영향
    각 코치의 경력, 선호하는 전술 스타일, 지도 철학이 해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공격적 축구를 선호하는 코치는 같은 장면에서도 공격 기회로 해석하고, 수비적 코치는 위험 요소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주목하는 요소의 차이
    일부 코치는 볼 소유자의 움직임과 기술에 집중하고, 다른 코치는 무볼 선수들의 위치와 움직임을 중시합니다. 이는 각자의 훈련 경험과 지도 스타일에서 비롯됩니다.

  3. 맥락 정보의 부족
    짧은 클립만으로는 경기 전체의 맥락, 팀의 전술적 의도, 선수들의 피로도, 경기 상황 등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해석의 다양성을 더욱 증폭시킵니다.

현장에 주는 시사점

  1. 비디오 분석의 한계 인식

    객관적 데이터라고 여겨지는 비디오 분석도 결국 주관적 해석을 거쳐야 합니다. 여러 코치의 관점을 종합하는 것이 중요하며, 단일 해석에만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2. 분석 프레임워크의 필요성

    일관된 분석을 위해서는 명확한 기준과 프레임워크가 필요합니다. 무엇을, 어떻게, 왜 분석할지에 대한 합의가 선행되어야 하며, 분석 과정의 투명성이 중요합니다.

  3. 소통과 협업의 중요성

    코치들 간의 의견 차이를 부정적으로 보기보다는, 다양한 관점을 통해 더 풍부한 분석을 도출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해야 합니다. 팀 내 분석 회의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무적 적용 방안

다각적 분석 시스템 구축

- 여러 코치의 관점을 종합하는 분석 시스템 구축 (어떤 기준으로 축구를 분석할 지 정립)

- 정기적인 분석 회의를 통한 의견 교환

- 분석 기준과 프레임워크의 표준화

분석 교육의 중요성

- 코치들에게 일관된 분석 방법론 교육

- 객관적 관찰과 주관적 해석의 구분 교육

- 맥락 정보를 고려한 종합적 분석 능력 향상

같은 데이터를 보더라도 해석은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를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결국, 같은 데이터를 바라보더라도 해석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팀 차원에서 분석의 관점과 기준을 명확히 정립하고, 그에 기반한 일관된 피드백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주원우 🫡

무료로 구독하여 새로운 글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참고문헌

Furley, P., Mehta, S., Raabe, D., & Memmert, D. (2025). Objectivity of match analysis in football: Testing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coaches’ interpretations of video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Science & Coaching, 20(1), 45-55. 🔗 논문 링크

Discussion about this episode

User's ava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