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에서 비디오 분석은 필수적인 도구라 생각됩니다. 경기 후 선수들과 함께 영상을 보며 피드백을 주고받는 시간은 선수 개발의 핵심 과정입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코치와 선수들이 어떻게 소통하고, 이 상호작용이 선수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있었습니다.
권위주의적 피드백: 코치 중심의 일방적 소통
2012년 영국 프리미어리그 아카데미에서 진행된 연구에서 흥미로운 발견이 있었습니다. 34세 U18팀 헤드코치와 16-19세 아카데미 선수 22명이 참여한 6회의 비디오 피드백 세션을 분석한 결과, 코치가 세션의 흐름을 완전히 통제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코치는 비대칭적인 발언권 배분을 통해 선수들의 발언 기회를 제한했습니다. 질문을 통해 특정 선수를 선택해 발언하게 하고, 대화 주제에 대한 일방적 통제권을 행사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피드백 세션이 아닌, 권위주의적 담론의 공간이었습니다.
코치의 권력 기반: 다양한 영향 전략
연구자들은 Raven의 사회적 권력 이론을 사용해 코치의 영향 전략을 분석했습니다. 코치는 여러 권력 기반을 활용해 선수들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전문가 권력(Expert Power): 코치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영향력
정보 권력(Informational Power): 선수들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설명하는 방식
합법적 권력(Legitimate Power): 코치의 제도적 역할에서 나오는 권한
강제 권력(Coercive Power): 부정적 성과 영상을 반복 시청시키는 방식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코치가 부정적 성과 영상을 반복해서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학습 목적이 아닌, 일종의 '처벌'로 기능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선수의 저항과 순응: 복잡한 상호작용
흥미롭게도 선수들도 완전히 수동적이지만은 않았습니다. 한 선수는 코치의 분석에 반대 의견을 제시하려 했지만, 결국 코치의 권위 앞에서 입을 다물었습니다. 이런 상호작용은 코치-선수 관계에서 권력 불균형이 학습 효과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연구에서 드러난 한 가지 패턴은 선수들이 코치의 질문에 답할 때 매우 조심스러운 톤을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선수들이 코치의 권위를 인식하고, 자신의 발언이 부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느끼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실무적 시사점: 더 나은 피드백 방식의 필요성
이러한 발견들은 실무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코치 교육의 중요성: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치들은 자신의 상호작용 방식이 선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비디오 피드백 세션에서 나타난 권위주의적 담론과 일방적 소통 방식은 선수들의 학습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피드백 방법의 개선: 연구자들은 비디오 기반 피드백에서 더 협력적이고 대화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제안합니다. 현재와 같은 코치 중심의 일방적 소통이 아닌, 선수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의견 교환이 가능한 방식으로 개선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 선수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 비디오 분석을 단순한 지적 시간이 아닌, 함께 학습하는 과정으로 인식
- 코치의 권위보다는 지식과 경험을 통한 설득력 있는 소통 강화가 필요합니다.
권력 관계와 학습 효과: 연구는 코치-선수 관계의 권력 불균형이 학습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강제 권력의 사용(예: 부정적 성과 영상 반복 시청)과 발언권의 비대칭적 배분은 선수들의 자발적 학습과 성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결론: 권력 관계를 넘어선 진정한 학습
비디오 피드백 세션은 단순히 기술적 분석을 위한 시간이 아닙니다. 이는 코치와 선수들이 함께 성장하는 교육적 공간이어야 합니다. 권위주의적 접근보다는 협력적이고 대화적인 방식이 장기적으로 더 효과적인 선수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코치의 역할은 모든 답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선수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권력 관계를 넘어선 진정한 소통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주원우 🫡
참고 문헌
Groom, R., Cushion, C. J., & Nelson, L. J. (2012). Analysing coach–athlete ‘talk in interaction’within the delivery of video-based performance feedback in elite youth soccer. Qualitative research in sport, exercise and health, 4(3), 439-458. 🔗 논문 링크
Share this post